제목 | 중견기업 산업기술인력 수급 애로사항 분석 |
---|---|
주제/구분 | 고용-노동 |
저자 | 김경아 |
발행일 | 2017-02-10 |
□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
○ 현재 중견기업의 채용 기준 및 과정을 살펴보면, 중견기업의 특징에 부합하는 채용 과정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재정적 문제 및 부정적 인식 등으로 인재 확보 및 유지가 어려운 것으로 판단됨
○ 또한 지금까지 중소기업의 어려움과 인력난에 대한 연구들은 다수 있어 왔으나, 그에 반해 중견기업의 인력난과 취약성을 심도 있게 연구한 사례는 찾기 어려움
○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견기업 인사관리 특징 등의 문헌을 조사하고, 중견 기업 통계적 현황 및 실태조사 분석 결과를 통해 중견기업 인력 관련 세부적 문제점을 진단하여 인재 확보 및 유지 관련 정책적 개선 방향을 도출함
□ 주요 연구내용 및 방법
○ 문헌연구
○ 중견기업의 세부적 유형별 인력 수급, 필요인력 수요 및 인력관리 애로 사항에 대한 실태분석 및 문제점 논의
○ 중견기업의 인력확보 및 유지, 중견기업 특성에 기반한 인력 문제 쟁점 검토 및 시사점 논의
○ 개선방향 도출
□ 주요 연구결과 및 시사점
○ 중견기업의 인력부족 현황
- 중소기업 수준 중견기업群과 대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은'연구개발 인력’이 가장 부족한 반면, 중견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의 경우에는 '기타유형 인력의 부족률’이 가장 높음
- 연구개발 인력의 부족률은 매출액이 적은 기업일수록 그 수치가 더 높고 매출액이 높은 기업일수록 수치가 낮았음
○ 중견기업의 고용 시 애로사항 및 문제점
- 전체적으로 인력고용 시 가장 큰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중견기업 그룹은 중소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임
- 그에 반해 중견기업 수준 중견기업群과 대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의 경우, 상대적으로 인력고용 시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업종들은 소수에 불과하였음
○ 중견기업의 인력관리 시 애로사항 및 문제점
- 인력관리 시 주요 애로사항 역시 중소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이 가장 취약하였음
- 특히, '타사 스카우트’로 인해 인력 유출 애로사항을 겪고 있는 중견기업들은 중소기업 수준 중견기업群의 음료 제조업, 자동차 및 부품 제조업, 전자부품, 컴퓨터, 영상, 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 업종이었음
○ 중견기업의 인력 지원을 위한 개선 방안
- 기업그룹별로 차별화된 인사관리 정책의 적용이 필요
- 중견기업 역시 각 기업마다 규모의 차이가 발생하고 있으므로, 기업그룹별 차별화된 인사관리 정책의 적용이 필요
- 중견기업에 대한 인력지원은 기업유형별로 세분화되어 추진될 필요성이 있음